티스토리 뷰
목차
반응형
친척 호칭은 헷갈리기 쉽습니다. 특히 요즘처럼 왕래하는 친인척의 수가 줄어든 현실에서는 아이들에게 친척 호칭 알려주기가 난감한 경우도 있죠.
촌수에 따라 달라지는 호칭부터 삼촌, 조카, 형제 관계 등 올바른 호칭을 한눈에 정리해드립니다.
📌 친척 호칭, 왜 어려울까?
한국의 친척 호칭은 부계(아버지 쪽)와 모계(어머니 쪽)에 따라 다르게 사용되며, 촌수에 따라 세분화됩니다. 부모님의 형제, 자매를 부르는 방법도 다르고, 사촌・조카 관계에서도 다양한 호칭이 존재합니다.
📖 기본적인 친척 호칭 정리
1️⃣ 부모님의 형제자매
관계 | 아버지 쪽 (부계) | 어머니 쪽 (모계) |
형 | 큰아버지 | 이모부 |
동생 | 작은아버지 | 이모부 |
누나 | 고모 | 이모 |
여동생 | 고모 | 이모 |
2️⃣ 나의 형제・자매의 가족
관계 | 호칭 |
형・오빠의 아내 | 형수 / 새언니 |
동생의 아내 | 제수씨 |
누나・언니의 남편 | 매형 / 형부 |
동생의 남편 | 매제 |
3️⃣ 조카 관계
관계 | 호칭 |
형・오빠의 아들 | 조카 |
형・오빠의 딸 | 조카 |
여동생의 아들 | 생질 |
여동생의 딸 | 생질녀 |
4️⃣ 촌수 계산 방법
촌수는 기본적으로 부모와 자식 간 1촌을 기준으로 합니다.
- 형제・자매 → 2촌
- 사촌(부모의 형제 자녀) → 4촌
- 오촌(사촌의 자녀) → 6촌
가까운 친인척 사이의 호칭을 쉽게 정리해보았습니다. 자주 만날순 없지만 가족이란 마음은 변하지 않는 친척!
호칭을 잘 기억하시면 다음번 만남이 더 반가워 질 것입니다.
반응형